1. 샴 고양이의 기원
샴은 태국에서 자연 발생한 종으로 라마 5세가 대 영국/미국 외교를 펼칠 때 샴을 선물하여 태국 왕실 고양이로 알려졌습니다. 사실 카오 마니(Khao Manee)라고 불리는 태국 왕실 고양이가 따로 있지만 2014년 기준으로 태국 왕실을 제외하고 브리더가 전세계에 4명일 만큼 희귀한 종으로 샴이 태국 왕실을 대표하는 고양이로 대신 불려졌습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도 Corsham Royal Boy라는 이름을 가진 씰 포인트 샴 고양이를 결혼 선물로 받았는데 그 고양이를 매우 아끼었다 합니다. 그 후 "여왕의 고양이"로도 불리우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샴고양이는 14세기부터 품종 관리가 될 정도로 유럽과 미국 전역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영어로는 Siamese Cat으로 siam은 타이왕국의 옛 명칭입니다. 사파이어 색의 눈을 보면 알 수 있듯 태국어로 “달의 다이아몬드”를 뜻합니다.
2. 특징
대체로 크림색 단모종으로 겨울과 봄 사이에 털갈이가 적고, 속털이 적어 관리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외형은 코 주변에 특징적으로 짙은 색의 털이 나 눈에 다크서클이 낀 듯한 포인트 형태를 보이며, 귀, 꼬리, 발등도 자라면서 거뭇해집니다. 어렸을 때는 털 색깔이 옅으나 성묘가 된 이후에는 온도 민감성을 가져 추우면 짙은 색으로, 더우면 옅은색으로 변합니다. 한국 기후에서는 특성상 까만색 얼굴 포인트와 흰 몸털의 대비는 어릴 때 한정으로 보이고 나이가 들수록 털 색깔이 까맣게 변하기도 합니다. 또한 씰이나 초코 포인트 샴일 경우 라일락 포인트, 블루 포인트 등 보다 털의 색깔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납니다.
샴 고양이는 태어나면서 성묘가 될 때까지 사파이어 색의 눈 색깔을 유지하고 무게는 3.5~4.5kg 정도입니다.
샴은 다른 고양와 달리 사람 손타는 걸 좋아합니다. 개체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온순하고 느긋한 성격으로 집사 무릎이나 침대 위로 올라와 함께하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매우 활동적으로 건강한 개체가 많습니다 사람의 관심을 끌려고 노력하며, 이를 충족시켜주지 않으면 이식증으로 발전해 집의 물건을 물어 뜯는 문제행동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외로음을 잘타고 질투심이 항한 샴은 집사가 다른 동물이나 아기에게 관심을 갖는 것에 불만을 표출할 수 있습니다. 외출이 잦은 집사일 경우 샴은 외로움을 느낄 수 있고 부득이하게 떨어져있을 경우 같이 있을 다른 사람을 필요로 하므로 이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샴은 수다스러운 편으로 말을 걸면 야옹하며 대화하는 개체도 많다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고양이와 확연한 차이가 있는 특유의 울음소리를 가져 집사와 대화하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CFA나 TICA와 같은 국제 고양이 협회에서는 역삼각형의 얼굴에 일반 샴 고양이보다 더 길고 가는 몸매를 지닌 개량된 샴을 샴 고양이의 기본으로 봅니다. 기존의 샴 고양이는 Thai cat으로 불러 구분합니다. 샴 고양이 중에는 중장모종인 발리니즈라는 돌연병이 종도 존재합니다. 발리니즈는 한때는 샴으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현재는 샴의 품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친척뻘로는 오리엔탈 쇼트헤어와 오리엔탈 롱헤어가 있는데 유전적으로 입체 시력이 좋지 않아 간혹 점프를 하지 못하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반려인이 이를 잘 관찰해야 합니다. 한편 샤바나캣은 수컷 서벌과 암컷 샴 고양이가 교배한 종으로 건강상의 문제 때문에 현재는 수컷 버벌과 암컷 사바나캣(사바나 캣 수컷은 생식이 불가능)을 교배합니다.
3. 매체에서의 등장
샴은 째진 눈매의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계를 대표하는 고양이 품종으로 등장하곤 합니다.
강철의 왈츠에서는 태국의 상징으로 등장했고, Bernard Werber의 소설 고양이에서는 여러 고양이들 중 피타고라스가 수컷 샴 고양이로 등장하여 머리에 USB(3의 눈)가 이식되어 있는 캐릭터로 그려졌습니다. 이 외에도 뮤지컬 캣츠의 카산드라가 샴고양이이고, 게임 마린크래프트의 고양이 중 하나는 개발자 한 명이 키우는 샴고양이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포켓몬스터의 페르시옹은 이름은 페르시안이지만 외형은 샴고양이를 하고 있습니다.
한편 1975년 저온 물리학(low-temperature physics)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한 미국의 물리학자 잭 헤어링턴(Jack H. Hetherington)은 자신의 논문에 저자를 I가 아닌 We로 적은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키우고 있던 샴고양이 체스터를 F.D.C. Willard라는 이름으로 공동저자로 삼고, 체스터의 발바닥 잉크 자국을 남겨 서명하였습니다. 그 후에도 수차례 공동저자로 이름을 알린 체스터는 1980년 9월에는 프랑스의 저널에 단독 저자로 등재되어 물리학 논문 저자로서 유명세를 떨치게 되었습니다.
참고 사이트
나무 위키 namu.wiki